본문 바로가기
건강/성인 건강

장루 및 장루주머니는 무엇일까? 장루환자 장애진단 신청방법

2023. 5. 8.
반응형

요즘 '닥터 차정숙' 드라마를 아주 재미있게 보는데요, 드라마 내용 중 '장루'에 대한 이야기가 여러 번 나옵니다.

 

장루와 장루주머니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장루? 장루주머니?
2. 장루를 만드는 이유
3. 장루의 합병증
4. 장루주머니 교체방법
5. 장루환자 주의사항
6. 장루환자 장애진단
7. 정리

장루_장루주머니_썸네일
장루_장루주머니_썸네일

 

1. 장루? 장루주머니?

장루란 인공항문이란 뜻으로 항문이 아닌 복벽을 통해 장 내용물이나 대변을 배설하기 위해 소장 또는 대장 일부를 복벽을 통해 몸 밖으로 꺼내어 고정한 구멍입니다.

 

촉촉하고 붉은 점막으로 되어 있으며 장루 자체에는 신경이 없어 만져도 아프지는 않습니다.

 

장루는 개통된 장의 위치에 따라 배설물에 물기가 많은 회장루와 대변과 유사한 형태의 배설물이 나오는 결장루, 소변이 배설되는 요루가 있습니다.

 

장루주머니
장루주머니(출처:질병관리청)

 

장루에 배설물이 담기도록 착용하는 주머니가 바로 장루주머니입니다.

 

 

 

2. 장루를 만드는 이유

장루를 만드는 이유는 장루 아래 하부장관으로 장 내용물이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부장관이 막혀 장 내용물이 내려가지 못하면서 장이 늘어난 경우 압력을 낮추기 위해 만들어 줍니다.

 

장루
장루(출처:질병관리청)

 

대부분 항문과 인접한 직장암이 대표적입니다.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같은 염증성 장질환, 악성종양, 신경계질환, 외상성 손상 등에서 장루를 만들기도 합니다.

 

장루를 만든 초기에는 부어있지만 6~8주 정도 지나면 부종이 서서히 줄어듭니다.

 

 

 

3. 장루의 합병증

① 장루괴사

정상적인 장루는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어 구강 점막의 색과 비슷한 선홍색이나 짙은 분홍색입니다.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 장루 괴사가 발생합니다.

 

수술 후 초기에 괴사가 발생하기 쉬우며 회장루보다 결장루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② 장루 탈출

복부 안에 있던 장의 일부분이 길게 밖으로 튀어 나온 것입니다. 복압이 자주 증가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장루 주위 탈장

장루를 지지하는 복벽의 근육이나 근막이 약해지면 장루 주위 탈장이 생겨 장루 주변이 밀려 나온 장으로 인해 볼록하게 튀어나옵니다.

 

장루환자는 복부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탈장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④ 함몰 장루

장루가 주위 피부보다 높이가 낮아져 배설물이 피부 보호판 밑으로 새어나와 피부자극이 생길 수 있습니다.

 

 

⑤ 장루 협착

장루에 염증이나 감염 등의 합병증이 생긴 후 치유되는 과정에서 피부 흉터 등으로 인해 피부가 좁아지면서 장루까지 좁아져 변이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⑥ 장루 출혈

장루는 혈관 분포가 많아 가벼운 자극에도 쉽게 피가 납니다. 

 

⑦ 장루 주변 피부 손상

배설물이 피부에 닿으면 자극을 받아 피부가 벗겨지고 진물이 나옵니다. 

또는 장루주머니의 접착제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장루주머니 교체방법

장루 주머니와 피부 보호판 교체 방법입니다.

 

장루주머니와_피부보호판_교체방법
장루주머니와_피부보호판_교체방법(출처:질병관리청)

 

주변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루주머니를 끼우고 새는 부분이 있는지 꼭 확인하도록 합니다.

장루주머니 교환 시 장루의 크기와 색깔, 배설물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장루주머니는 1/3~2/3 정도 차면 비워주고, 장루주머니 교환은 배설이 없는 시간대인 식전 또는 식후 2시간 전후가 좋습니다.

 

 

 

5. 장루환자 주의사항

회장루는 대장에서 수분이 흡수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배설되기 때문에 급속하게 수분이 빠져나가 전해질 부족이 올 수 있습니다.

 

회장루를 가진 환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하며 덥거나 외부활동이 많은 날에는 더 많은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6. 장루환자 장애진단

장루의 종류에 따라 2~5급 장애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장애인 등록과 장애정도 심사제도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꼭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보건복지부_홈페이지_링크
보건복지부_홈페이지_바로가기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과 ☎044-202-3298

 

 

 

7. 정리

드라마를 통해 장루를 알게 되었지만 자세히 알고 보면 관리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드라마에 나온 사연이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장기간 또는 영구적으로 장루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 경우 무엇보다 멘탈관리가 중요하며, 일상생활과 배설물 처리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네이버 블로그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페이스북 공유 카카오톡 공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