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인성 감염병 원인과 종류별 증상, 예방법, 신고방법 안내

2023. 6. 23.
반응형

코로나19 관련 방역조치가 완화되면서 수인성 감염병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물놀이도 큰 원인으로 수인성 감염병은 여름철 주된 감염병입니다.

 

여름철에 급증하는 수인성 감염병이란 무엇인지, 원인과 종류별 증상, 예방법, 수인성 감염병에 걸렸을 때 신고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수인성 감염병이란?
2. 수인성 감염병 원인
3. 수인성 감염병 종류와 증상
4. 수인성 감염병 예방법
5. 수인성 감염병 신고법

6. 정리

 

수인성감염병_썸네일
수인성감염병_썸네일

 

 

 

1. 수인성 감염병이란?

수인성 감염병은 오염된 물이나 식품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말합니다. 수인성 감염병은 병원성 미생물(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또는 독성 물질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됩니다.

 

수인성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오염된 물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와 위장관에서 증식하면서 감염증을 일으키고 분변을 통해 우리 몸 밖으로 나갑니다. 이는 다시 주변의 물을 오염시켜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는데 이러한 전파 경로를 분변-경구 전파경로라고 합니다.

 

하절기(5~9월)에는 집단발생이 그 외 기간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됩니다. 이에 질병관리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해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수인성 감염병과 식중독의 차이는 무엇인지 한국수자원공사 물백과사전에서 알아보세요!

 

 

수인성 감염병과 식중독의 차이점 👉🏻 Click

 

 

 

2. 수인성 감염병 원인

수인성 감염병은 주로 오염된 물과 음식물 섭취를 통해 감염됩니다. 

 

환자, 무증상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 또는 환자가 직접 조리한 음식에 의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파리와 같은 위생 곤충에 의해 오염물로부터 다른 음식물로 세균이 전파되기도 합니다.

 

또한 오염된 물이나 식품에 접촉한 후 손을 씻지 않고 눈, 코, 입을 만지면 걸릴 수 있습니다.

 

수인성 감염병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설사, 복통, 구토,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기생충이나 독성물질에 의한 원인도 비슷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3. 수인성 감염병 종류와 증상

수인성 감염병은 2급 감염병인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A형 간염, E형 간염 등과, 3급 감염병인 비브리오패혈증, 4급 감염병인 장관감염증 등이 있습니다.

 

수인성_식품매개감염병의_장관감염증_종류(출처:질병관리청)
수인성_식품매개감염병의_장관감염증_종류(출처:질병관리청)

 

✔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타이피균에 감염되어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복통, 두통,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이한 점은 일반적으로 설사보다 변비가 많으며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 잘 나타납니다.

 

 파라티푸스

파라티푸스는 파리티푸스균 A, B, C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은 장티푸스와 유사하지만 증상의 강도나 경과가 더 약한 편입니다.

 

 세균성이질

세균성이질은 시겔라균에 의해 감염되어 대장에 급성 염증을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고열과 구역질, 구토와 경련성 복통, 점액성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고 때로는 무증상 감염이나 경미한 증상이 나타날 때도 있습니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은 장출혈성 대장균에 감염되어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무증상 감염, 오심, 구토, 비혈변성 설사, 복통, 미열, 수양성 설사에서 혈성 설사로 이행 등이 나타나고 특히 고령이나 유아의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콜레라

콜레라는 콜레라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급성 장관 질환입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잠복기가 지난 후 과다한 물 설사가 갑자기 시작되고 구토가 동반될 수 있으며 설사로 인한 순환 기계 허탈 증세와 쇼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급성 패혈증 질환입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고 발열 후 36시간 정도 지나면 피부 병변이 발생합니다.

 

 

 

4. 수인성 감염병 예방법

수인성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충분히 익혀서 먹기, 물 끓여 마시기,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설사 증상이 잇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식재료별 도마 분리 사용 및 칼, 도마는 조리 후 소독하기 등을 실천해야 합니다.

 

수인성_식품매개감염병_예방수칙(출처:질병관리청)
수인성_식품매개감염병_예방수칙(출처:질병관리청)

 

 

 

5. 수인성 감염병 신고법

수인성 감염병의 집단발생 기준은 같은 시간, 장소에서 음식물을 섭취한 사람들 중 2명 이상이 장관감염증상 (구토, 설사, 복통 등)이 발생한 경우 신고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의료진이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발생한 식당 업주, 증상 발현자 또는 집단발생을 목격한 경우 등 누구나 가까운 관할지역 보건소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6. 정리

무더운 여름에 수영장과 물놀이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이들 여름방학이 시작되면 더 붐빌 텐데, 수인성감염병에 철저히 대비해야겠습니다. 수인성감염병은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수인성감염병에 대한 글을 마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반응형
네이버 블로그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페이스북 공유 카카오톡 공유


댓글